상승N자형

강의자 : 김성훈
상승 N자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승 N자형의 경우 주가 흐름의 가장 기본적인 패턴의 형태입니다.
기술적 분석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매우 상식적인 패턴 파동의 1,2,3차 파동과 동일하지만 이 속에는 모든 파동의 이치가 담겨 있습니다.

상승 N자형을 1,2,3차 파동으로 구분한다면 1차 파동은 어느 정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2차 파동의 조정 눌림목은 어느 수준으로 설정해야 하며 파동의 상승국면은 어떤 기준으로 설정해야 하는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상승N자형 이미지1
N자형은 눌림목 매수 급소!
  • 1차 상승 이후 파동의 조정 국면에서 눌림목 출현
  • 단기 급등 후 차익 매물 출현,이후 (5,20)일 이평선 지지
  • 이평선 지지가 깨질 경우는 추세의 반전이 하락구간으로 추정

N자형 급등주는 대세 상승이 지속될 때나 단기 1차 상승 이후 급등에 따른 급락 조정이 들어오지만 강세장이 예상되기에 후속 매수세가 유입되며 다시 급등세로 전환됩니다.

개별 종목에서는 단기적인 수급의 변동성이 있는데 급등 시 상단에서 차익매물 출회로 주가가 하락세로 전환되는 듯 보이지만, 일정 폭 이상 급락하게 되면 단기 차익을 노리는 매수세가 유입되어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 상승세가 나타납니다.

급등주가 일정한 가격 조정 즉 균등 비율에 의하면 상승폭 1/3, 1/2 정도로 균등한 비율로 조정을 받고 다시 상승하는 예가 많습니다.
하지만 20일 이평선, 생명선의 지지가 지켜지는지를 판단하고 재차 상승 패턴인지 또는 추세의 반전 이후 하락 구간으로 접어드는지를 보고 매입을 결정해야 합니다.

20일선 지지를 받고 상승 탄력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차트 이미지

차트에서 보시다시피 균등 분할한 분홍색으로 나눈 구분 실선 저점에서 1차 상승 이후 1/2지점까지 조정 폭을 준 이후 다시 재차 1차 상승 비율만큼 상승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눌림목 이후 20일선 지지를 받고 상승 탄력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조정 기간을 흔히 눌림목이라고 하는데 눌림목은 단기 급등 후 차익매물로 주가가 5일선 아래로 무너진 상태에서 손바뀜이 이루어지는 구간, 그러나 어떤 주식이든 1차 상승하고 조정을 받는다고 다 눌림목은 아닙니다.

1/2 지점에서 반등한 후 받은폭의 2배만큼 반등을 시도하는 차트 이미지

중간에 N자형 패턴으로 균등분열 후 1/2 지점에서 반등한 후 3차 파동에서 조정 받은 폭의 2배만큼 반등을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눌림목은 일반적으로 20일 지지선을 지지기반으로 하고 때론 중기 이평선이 지지가 되기도 합니다. 조정기간이 짧을수록 좋지만 추세가 하락세로 반전했는데 눌림목인 것으로 착각해 무리하게 매수할 경우 마음고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눌림목 구간에서는 무작정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량 증가와 함께 5일 변곡점이 나타납니다.

상승N자형 이미지2
  • 중기 60,120일선이 우상향 하는 가운데 5일선 하락은 단기 하락
    가능성이 큼
  • 2파동 이후 지지 선의 반등 구간에 매수 타이밍 (20일선 지지 이탈 시 매도)

중장기 이평선의 우 상향 시에 단기 이평선 하락은 단기 조정권이라는 점을 나타낸 것입니다.
중기 이평선 상승추세에서 일시적인 단기 이평선 하락은 조정일 가능성이 큽니다. 무엇보다 급상승이 아닌 점진적 상승추세에서 중기 이평선은 매우 강력한 지지선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큰 거래량 변동 없이 단기 이평선이 중기 이평선 아래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가격 상승에 따른 매물 소화과정(이격조정)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중기 이평선은 여전히 강한 상승추세이기 때문에 지지가 되는 한 일시적 하락세인 단기 이평선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큽니다.

※ 종목발굴에서 N자형 패턴의 검색종목은 유사도 50%이상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