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 후 상승패턴

강의자 : 김성훈
하락 후 상승패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가가 역 배열의 형태로 장기간 하락한 이후 상승으로 전환하려면 매수세력의 입성이 필요합니다. 추세의 대표적 반전 형태로 샛별형 캔들의 출현이나 십자형 일봉이 출현 합니다. 십자형 일봉을 일명 도지라고 하는데 중립의 기운이 강하다는 뜻으로 이후 심리 변화에 따라 주가 변동폭이 강하게 나타나는 패턴의 형태입니다.

주가가 상당기간 하락 후 샛별형 캔들이나 도지가 출현하면 추세의 중요한 전환국면이 임박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1.하락의 끝에서 십자 일봉 출현은 추세전환 신호 2. 샛별형 캔들은 의미가 큰 반전형 패턴 3.아래꼬리는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했다는 의미

도지란 시가와 종가의 가격차이가 적어서 몸통의 형태가 일자와 같아지는 봉입니다. 일단 도지가 주가 하락 중 혼자 발생 하였다면 일반적으로 전환 신호 정도로 인식하며 두 개, 세 개의 캔들과 함께 발생할 때에는 더 의미가 크고 이것이 샛별형 캔들로 나타났을 때 가장 큰 추세의 반전을 의미합니다. 샛별형 캔들 형태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캔들은 장대 음봉이 나오고 두 번째 캔들은 하락 갭을 만들면서 캔들 몸통의 크기가 작은 도지형태를 띄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캔들의 아래꼬리가 길다는 것은 장 중 저점에서 매수세가 출현해 매도세를 압도해 버린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 캔들이 첫날 음봉의 몸통을 감싸면서 장대 양봉이 출현합니다.

하락 이후 샛별형 캔들 출현으로 반등 연출하는 차트 이미지

주가가 장기적으로 역배열을 만들면서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보이며 반등을 모색하고 있지만, 주가가 바닥권에서 장중 십자형 캔들과 함께 샛별형 캔들이 출현하면서 상승추세로의 반전신호를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캔들에서 십자형 캔들 출현 이후, 갭을 메꿔 주는 장대 양봉이 나오면서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락 후 상승패턴에 관련된 이미지
  • 매수세력의 입성을 뜻하는 도지발생
  • 마지막 캔들이 첫날 음봉의 50%이상 상승

정리하자면 하락구간의 끝에서 반전 패턴이 형성되려면 매도세력보다 매수세력의 힘이 더 강해야 하는데 첫 째 음봉 뒤에 십자형 캔들이나 망치형 캔들이 출현하여 아래꼬리를 달면서 매수세력이 입성했다는 신호를 주고 다음날 장대 양봉이 출현, 즉 세 번째 캔들은 기세상승을 뜻하는 양봉 캔들이 출연하면서 추세의 반전을 만듭니다. 그리고 첫 번째 장대 음봉 몸통길이의 50%이상 상승을 해야 신뢰할 수 있는 추세로 여겨 집니다.

※ 종목발굴에서 하락 후 상승 패턴의 검색종목은 유사도 50%이상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