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격도

강의자 : 김민진
이격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격도는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어지면 언젠가는 다시 이동평균선으로 되돌아 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높아 괴리도가 커지면 다시 이동평균선으로 하향하게 되고 다시 상향하려는 특성을 지닙니다.

이격도는 당일의 종가를 당일의 이동평균 주가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됩니다.

이격도 계산식 이미지

예를 들어 해당일 종가가 10,800원인 종목의 20일 이동평균가격이 10,000원 그리고 60일 이동평균가격이 9,000원인 경우 20일 이동평균선 이격도는 108이며, 60일 이동평균선 이격도는 120이 됩니다.

절대적 매매의 수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20일 이동평균인 경우 105% 이상이면 과열로 인한 매도관점, 95% 수준이면 과매도로 인한 매수관점, 60일 이동평균선의 경우 110% 이상이면 매도관점, 90% 수준이면 매수관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매수,매도 과열에 관련된 이미지 이격도에 관련된 차트 이미지

다음 차트는 20일 / 60일 이평선과 주가의 이격도를 표시해 줍니다. 상단선 하한선 기준가는 105 / 95로 각 시점에서의 매수 매도타이밍을 제공합니다. 즉 빨간 동그라미의 경우 매수타이밍 파란 동그라미의 경우 매도타이밍으로 적용 매매를 하시면 됩니다.

주가의 급등락을 포착하고 매매 타이밍을 제공하는 지표이지만 주가의 추세가 형성되었을 시 추가적인 주가 움직임이 나타날 경우가 많으므로 분할 매수 / 매도의 움직임으로 불확실성을 줄이고 추세지표인 MACD 등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구분 상승추세 하락추세
매수 매도 매수 매도
20일 이격 98 106 92 102
60일 이격 98 110 88 104

또한 상승 국면 시 20일 이동평균 106% 이상 매도, 98% 수준이면 매수, 60일 이동평균의 경우 110% 이상 매도, 98% 수준이면 매수로 수치를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며 하강 국면일 경우 20일 이동평균인 경우 102% 이상이면 매도시점, 92% 수준이면 매수시점, 60일 이동평균인 경우 104% 이상이면 매도 시점 88% 수준이면 매수시점으로 변경 적용 가능합니다.

※ 검색조건 : 시가총액 100억 이상, 기간 20 이격도 105.00 이상
    (제외종목 : 관리종목, 거래정지, 정리매매, 불성실공시, 투자위험예고, 우선주, 투자위험)